다큐 On 미리보기

 

아이, 낳을 수 있을까?

 

2020년 대한민국 합계출산율 0.84명!

1970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래

최저치를 기록했다.

유엔인구기금(UNPFA)의

‘2020년 세계인구현황보고서’에 따르면,

우리나라 출산율은 조사 대상 198개 국가 중

꼴찌다. 대한민국은 왜 아이를 낳지 않는

나라가 되었을까?

 

“아이요? 나라에는 필요하겠지만,

저한테 필요한지는 잘 모르겠어요”

 

“아이 낳는 거, 현실적으로 저한테

는 어렵지 않을까 생각해요”

 

결혼, 출산, 육아에 대한

2030 청년들의 솔직 토크!

그리고 아이를 키우며 살아가는

부부들이 전하는 이야기!

 

 

 

 

▶ 결혼 할 수 있을까? 연애 10년 차 커플의 고민

 

연애 10년 차 이한솔(30), 최누리(29) 씨.

두 사람은 내년 2월 결혼을 계획 중이다.

사회생활을 시작한 이후, 누구보다 열심히

일했고, 알뜰히 모았다. 이만하면 둘만의

보금자리를 만들고, 아이를 낳아 행복하게

살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. 하지만 결혼 준비를

시작하자마자 냉혹한 현실의 벽에 부딪혔다.

두 사람이 모은 자금으로는 서울에서

작은 원룸밖에 구할 수 없다.

 

“아니면 결혼을 미뤄야 돼, 그럴 수 있겠어?”

 

“아이 때문에 결혼이 하고 싶었는데,

결혼을 해도 아이 낳기가 어려운 상황.

이래서 출산율이 떨어지는 건가?“

 

 

▶ 맞벌이 부부, 가사와 육아는 왜 반반이 아닌가요?

 

온라인 마케팅 교육을 하는 박미애(38) 씨.

그녀의 하루는 새벽 4시 30분에 시작된다.

일어나자마자 밀린 업무를 처리하고,

7시 30분이 되면 아침 식사를 준비한다.

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두 아이의 하원시간에

맞춰 이른 퇴근을 하려면 이 방법밖에 없다.

저녁에 다시 시작되는 육아 전쟁, 퇴근이 퇴근이

아니다. 남편이 좀 더 적극적으로 육아와

가사에 참여한다면 한결 수월할 텐데,

야속하게도 그럴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.

 

“사실 아이는 같이 낳아서 같이 키우는 건데

보고 자라온 게 그래서인지, 엄마가 하는 게

당연하다는 생각을 저도 갖고 있는 것 같아요.“

 

▶ 다둥이 부부가 될 수 있었던 이유

 

올해 딸 예주가 태어나며, 세 아이의 부모가 된

유대호(38), 장민경(38) 씨. 세상을 다 가진 듯

행복하지만 부부에게도 힘든 시간이 있었다.

첫째 출산 후, 민경 씨는 육아를 위해 회사를

그만뒀다. 누구보다 일 욕심이 컸기에 이루

말할 수 없는 좌절감으로 우울증이 찾아왔다.

그리고 갖게 된 둘째 아이, 뭔가 달라져야

한다고 느낀 대호 씨는 육아휴직을 쓰기로

결정한다. 그는 회사에서 육아휴직을 쓴

첫 번째 남자였다. 민경 씨는 셋째를 낳을 수

있었던 건, 남편의 육아휴직 덕분이었다고 말한다.

 

“주변에서는 회사 그만두려나보다는

생각이 많았어요. 그리고 제가 돌아왔을 때

더 놀랐대요. 복직을 했어? 니가?“

 

“남편의 육아 휴직은 정말 행복한 시간이었어요.

제도적인 뒷받침이 있었기에

제가 다둥이 엄마가 될 수 있었던 것 같아요.”

 

▶ 아이 키우기 좋은 세상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

 

아이 키우기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

지자체에서는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.

충남도에서는 신혼부부에게 파격적인 혜택으로

아파트를 임대해 주고, 맞벌이 부부들이

24시간 아이를 맡길 수 있는 보육 시설을

운영한다. 우리나라보다 앞서 저출산 문제를

겪었던 주요 선진국들은 다양한 해결방안을

모색해 문제를 극복하고 있다. 출산율 반등에

성공한 프랑스와 독일, 그들이 선택한 방법은

무엇일까?

 

❙방송 일자 : 2021년 6월 18일 (금) 밤 10시 50분

❙담 당 자 : 연출/ 이승익, 작가/ 이혜나, 임차윤

❙제 작 : 아시아 채널

 

예고 영상

 

 

[출처] kbs , 네이버

 

반응형

+ Recent posts